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10년 계약갱신권
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10년 계약갱신권이 시행전 체결된 계약과의 관계
사건개요
의뢰인은 상가임차인으로, 임대인으로부터 계약종료통지를 통지를 받았습니다. 의뢰인은 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따라 10년의 계약갱신권을 주장하여 임대차관계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하였습니다.
주요쟁점 및 성공전략
이종식 변호사는 임대인의 계약종료통지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대만료일 1개월 전 통지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묵시적갱신을 주장하였고, 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개정법률 시행일 이후에 최초로 체결된 임대차계약 또는 갱신된 임대차계약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 사건도 개정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므로 2021년까지 계약갱신권행사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.
결과
의뢰인의 주장대로 2020년까지 계약을 연장하고, 다만 임대료를 소폭 올리는 것으로 조정성립하여 종결.

관련 사건사례
MORE- 위탁자가 상가건물 신축사업을 위해 토지신탁계약을 체결하고 그 신축 건물의 준공 이후 개별 호실에 관하여 부동산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하였는데, 위탁자의 채권자가 위탁자의 신축 건물에 관한 추가신탁이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신탁계약의 취소 및 신탁등기 말소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사안에서, 신탁회사를 대리하여 원고의 신탁회사에 대한 청구 전부를 기각하는 판결을 이끌어낸 사례
- 지역주택조합의 설계를 담당한 의뢰인에게 사업무산으로 인한 공동 책임을 물은 사안
- 약국독점 개설 및 특정 진료과 입점을 조건으로 분양계약체결한 뒤, 특정 진료과가 입점하지 않은 사례
관련 업무분야
MORE관련 구성원
MORE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?
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의를 통해 전달해주세요.